티스토리 뷰
반응형
1. 화살표 함수란?
- ES6부터 도입된 신기한 함수 표기법
- 기본적으로 익명함수가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.
// ES5
function plus( a, b ) { return a+b; }; // 처음부터 plus 함수라고 만든다.
var plus = function ( a, b ) { return a+b; }; // 익명함수 만들어서 plus라고 이름을 붙인다.
// ES6
var plus = (a,b) => a+b;
매우 간결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2. 화살표 함수의 여러가지 사용법
1) 매개변수 갯수에 따른 표기법
// 0개
() => {...}
// 1개
(x) => {...}
x => {...}
// 2개이상
(x, y) => {...}
2) 함수내용에 따른 표기법
// 함수 몸체가 한줄
() => x
// 함수 몸체가 여러줄
() => { ... return ...; }
3. 화살표 함수와 일반함수의 결정적 차이
- 일반함수의 this = 전역객체인 Window 객체를 가리킨다.
- 화살표함수의 this = 상위 컨텍스트를 가리킨다.
4. 출처
반응형
'기타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래빗엠큐 - 메시지 발행에서 성능절충 (0) | 2023.02.12 |
---|---|
코틀린 인 액션 (1) 코틀린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? (0) | 2022.06.13 |
Hyper - V 가상머신 강제 삭제 (0) | 2022.04.23 |
도커로 Kafka 랑 Kafdrop 띄우기 -2024.11.27 수정 (0) | 2022.03.30 |
Git? Github? (1) | 2020.06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