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1. 화살표 함수란?

  • ES6부터 도입된 신기한 함수 표기법
  • 기본적으로 익명함수가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.
// ES5 
function plus( a, b ) { return a+b; };        // 처음부터 plus 함수라고 만든다.
var plus = function ( a, b ) { return a+b; }; // 익명함수 만들어서 plus라고 이름을 붙인다.

// ES6
var plus = (a,b) => a+b; 

매우 간결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2. 화살표 함수의 여러가지 사용법

1) 매개변수 갯수에 따른 표기법

// 0개
() => {...}

// 1개
(x) => {...}
 x  => {...}

 // 2개이상
 (x, y) => {...}

2) 함수내용에 따른 표기법

 // 함수 몸체가 한줄
 () => x

 // 함수 몸체가 여러줄
 () => { ... return ...; }

3. 화살표 함수와 일반함수의 결정적 차이

  • 일반함수의 this = 전역객체인 Window 객체를 가리킨다.
  • 화살표함수의 this = 상위 컨텍스트를 가리킨다.

4. 출처

https://poiemaweb.com/es6-arrow-function

반응형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